설 임시공휴일 '27일' 확정...'31일' 아닌 이유? "번복, 더 큰 혼선 생겨"

살구뉴스
신고
공유
2025-01-14
온라인 커뮤니티

정부가 14일 국무회의에서 오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안건을 의결했습니다. 설 이후 금요일인 31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지만 정부는 당초 방침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설 임시공휴일 '27일' 확정

MBN
지난 13일 정부 관계자는 최근 제기된 ‘임시 공휴일 변경’ 주장에 대해 “국민 다수가 27일 임시공휴일로 생각하고 휴가 계획을 짠 상황에서 (날짜를) 번복할 때 더 큰 혼선이 생긴다”며 변경 계획이 없음을 확고히 했습니다. 

당정은 지난 8일 설 연휴기간을 기존 3일에서 6일로 늘려 소비심리를 진작시키고 내수를 활성화하자는 취지로 27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안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임시공휴일을 금요일인 31일로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가중과 월말 업무를 마감해야 하는 근로자 부담 가중에 대한 우려 때문입니다. 

 

'31일' 아닌 이유? "번복, 더 큰 혼선 생겨"

온라인 커뮤니티
온라인 커뮤니티
정부 관계자는 “31일은 다수 기업이 월말 결산과 마감을 진행하는 날이다. 임시 공휴일 지정 시에도 출근하는 직원들이 생길 수 있다”며 임시공휴일을 27일로 정한 이유를 밝혔습니다. 

“31일에 쉬게 되면 27~28일 출근자와 귀성객이 겹쳐 교통 혼잡이 더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했다”고 전했습니다. 내수 진작 효과에 대해서도 “휴일 수가 같기에 큰 차이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임시공휴일 31일 지정’은 지난 8일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자신의 SNS에 공개적으로 의견을 제시하며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정 청장은 “침체한 경기를 활성화하려는 본 취지에 부합할 수 있도록 날짜를 신중히 지정해야 한다”고 말하며 31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역시 지난 12일 자신의 SNS에 “정 청장 의견에 공감한다. 31일을 임시공휴일로 해야 한다”며 거들기도 했습니다. 

한편 인사혁신처는 14일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임시공휴일을 확정하기 위한 관보 공고 등 후속 조치에 착수할 예정입니다.